간단한 Web 프로젝트를 Spring Boot로 만들었는데

이상하게 Tomcat에 War로 올리면 404 에러로 경로를 못찾는 현상이 발생했다.

 

덕분에 몇시간을 날렸는데 이유는 간단했다..

 

 

Spring Boot의 Main 클래스에 SpringBootServletInitializer를 상속받지 않아서였다.

 

일반적인 Spring Framework에서는 Web.xml에 DispatcherServlet을 등록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Servlet 3.0에서는 web.xml이 없이도 배포가 가능 해졌는데 Apache Tomcat 7부터 지원을 한다.

 

web.xml의 역할을 WebApplicationinitializ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프로그래밍으로 ServletContext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바뀐것이다.

SpringBootServletInitializer는 WebApplicationinitializer의 구현체이다. 

SpringBootServletInitializer를 이용하여 WebApplicationContext를 생성하여 Servlet Context에 추가할 수 있다.

 

나 같은 경우에는 프로젝트에 web.xml도 없었고, WebApplicationinitializer를 구현한 SpringBootServletInitializer도 없었기 때문에 Tomcat에서 URL의 요청을 받아드릴수가 없었던 것이다..

 

SpringBootServletInitializer를 상속 한다는건 결국 Tomcat과 같은 Servlet Container 환경에서 Spring Boot Application을 동작 가능 하도록 Web Application Context를 구성한다는 의미이다.!

 

나와 같은 삽질은 다른 사람들은 하지 않았으면....

혼자 집에서 심심풀이로 만드는게 있는데 프론트에서 서버로 보내는 요청이 실패가 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크롬 콘솔을 보니 cross 어쩌고 저쩌고..

 

왜그런지 찾아보니 보안상의 이유로 스크랩트 내에서 HTTP요청을 SOP(Same-Origin Policy)로 막는 현상이 있었다.

 

SOP는 두 Origin간에 프로토콜, 포트, 호스트가 같아야 동일 Origin으로 간주하는데

 

예를 들어서 서버가 https://luji.tistory.com/ 주소를 사용중이고 Client에서 보내는 요청이 

1) https://luji.tistory.com/post  일 경우에는 성공

2) http://luji.tistory.com/post  일 경우에는 실패 (프로토콜이 다름 https / http)

3https://luji.tistory.com:8080/post  일 경우에는 실패(포트가 다름)

4https://www.luji.tistory.com/post  일 경우에는 실패(호스트가 다름)

 

이런 경우에 SOP정책에 의해 실패된다

 

그렇담 해결방법은 클라이언트에서 JSONP를 사용하거나 서버에서 CORS를 이용하여 해결 가능하다.

 

Spring Boot에서 CORS를 이용한 방법

1) Controller 개별 지정

@CrossOrigin
@GetMapping("/q")
String getTest(int test) throws Exception {
return testService.test(test);
}

 

2) 전역으로 지정

@Configuration
@EnableWebMvc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CorsMappings(Cors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Mapping("/**");
}
}

 

티스토리에 플러그인을 적용하지 않아서 코드가 더러운데 나는 WebConfig.java를 생성하여 addCorsMappings를 오버라이드하는 방식으로 전역파일로 따로 빼서 addMapping에 경로를 지정해서 사용중이다.

JUnit의 개요

- Java에서 독립된 단위테스트(Unit Test)를 지원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 Desgin 패턴과 Eclipse IDE를 개발한 Erich Gamma가 제작한 프레임워크다.

- 단정(assert) method로 테스트 케이스의 수행 결과를 판별한다.

- jUnit4부터는 테스트를 지원하는 어노테이션을 제공한다. (@Test, @Before, @After)

- 각 @Test 메서드가 호출할 때 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독립적인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위테스트(Unit Test)란?

- 소스코드의 특정 모듈이 의도된 대로 정확히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절차, 즉 모든 함수와 메소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Test case)를 작성하는 절차를 말한다.

- JUnit은 보이지 않고 숨겨진 단위 테스트를 끌어내어 정형화시켜 단위테스트를 쉽게 해주는 테스트 지원 프레임워크다




JUnit Annotation

@Test

- @Test가 선언된 메서드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메서드가 된다.

- JUnit은 각각의 테스트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됨을 원치으로 하므로 @Test 마다 객체를 생성한다.



@Ignore

- @Ignore가 선언된 메서드는 테스트를 실행하지 않게 한다.



@Before

- @Before가 선언된 메서드는 @Test 메서드가 실행되기 전에 반드시 실행되어 진다.

- @Test 메소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를 @Before 메소드에 선언하여 사용하면 된다.



@After

- @After가 선언된 메서드는 @Test 메소드가 실행된 후 실행된다.



@BeforeClass

- @BeforeClass 어노테이션은 @Test 메소드보다 먼저 한번만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AfterClass

- @ AfterClass 어노테이션은 @Test 메소드보다 나중에 한번만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JUint Method

method name 

description 

 assertEquals(a, b)

객체 a와 b의 값이 일치함을 확인한다. 

 assertArrayEquals(a, b)

배열 a와 b의 값이 일치함을 확인한다. 

 assertSame(a, b) 

객체 a와 b가 같은 객체임을 확인한다.

assertEquals 메서드는 두 객체의 값이 같은지 확인하고 assertSame 메서드는 두 객체의 레퍼런스가 동일한가를 확인한다. 

 assertTrue(a) 

조건 A가 참인가를 확인한다.

 assertNotNull(a) 

 객체 A가 null이 아님을 확인한다.


그 외 다양한 테스트용 메소드를 제공한다.


IoC (Inversion of Control) 와 DI(Dependency Injection)

- "제어의 역전" 즉 인스턴스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인스턴스 생명주기 관리를 개발자가 아닌 컨테이너가 대신 해준다 라는 뜻이다.

- 컨테이너 역할을 해주는 프레임워크에게 제어하는 권한을 넘겨서 개발자의 코드가 신경 써야 할것을 줄이는 전략이다.

- IoC 컨테이너는 객체의 생성을 책임지고, 의존성을 관리한다.

- POJO의 생성, 초기화 서비스, 소멸에 대한 권한을 가진다.

- 개발자가들이 직접 POJO를 생성 할 수 있지만 컨테이너에게 맡긴다.



DL (Dependency Lookup) : 의존성 검색

 - 저장소에저장되어 있는 Bean에 접근하기 위해 컨테이너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Bean을 Lookup하는 것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

 - 각 클래스간의 의존관계를 빈 설정정보르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연결 해주는 것]


DL사용시 컨테이너에 종속성이 증가하여 주로 DI를 사용한다.


DI의 유형 

1) Setter Injection : Setter 메서드를 이용한 의존성 삽입

 - 의존성을 입력 받는 setter 메서드를 마들고 이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2) Constructor Injection

 - 필요한 의존성을 포함하는 클래스의 생성자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3) Method Injection

 - 의존성을 입력 받는 일반 메서드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다형성 Polymorphism = Poly(다양한) + Morphism(변형, 변신)




객체를생성할때 다형성에 의거해서 아래와 같이 생성을 하면



Printer p1 = new StringPrinter();

Printer p2 = new ConsolePrinter();

부모클래스타입  변수 = new 자식 클래스의타입();



위와 같은 형식으로 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뜻을 내포한다.

-> StringPrinter 클래스는 Printer 타입이다.

-> ConsolePrinter 클래스는 Printer 타입이다. 


- 이게 바로 java에서 말하는 다형성이다.

- 타입은 Printer 타입이지만 다양한 StringPrinter, ConsolePrinter 변형이 가능하다.

- 구현체는 언제든지 바뀔수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만 바라보게끔 하는 방식 








Setter Injection의 <property> tag

- Setter method를 통해 의존관계가 있는 Bean을 주입하려면 <property> tag의 ref 속성을 사용 할 수있다.

- Setter method를 통해 Bean의 레퍼런스가 아니라 단순 값을 주입하려고 할 때는 <property>tag의 value 속성을 사용한다.

ref -> Bean id를 이용하여 주입할 Bean을 찾는다.

value -> 단순 값 또는 Bean이 아닌 객체를 주입할 때 사용한다.

public class Hello {
	String name; 
	Printer printer;

	public Hello()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void setPrinter(Printer printer) {
		this.printer = printer;
	}
}


위의 소스를 xml로 빈설정을 해주면 아래와 같다.


<bean id="Hello" class="source.Hello">

<property name="name" values="Spring" />    // setName Method

<property name="printer" ref="printer" />       // setPrinter Method 

</bean>

<bean id="printer" class="source.StringPrinter" />


보기 쉽게 각각의 키워드가 의미하는 바를 소스와 xml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이라이팅해봤다.








Constructor Injection의 <constructor-arg> tag

- Constructor를 통해 의존관계가 있는 Bean을 주입하려면 <constructor-arg> tag를 사용할 수 있다.

- Constructor 주입방식은 생성장의 파라미터를 이요하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개의 객체를 주입할 수 있다.


public class Hello {
	String name;
	Printer printer;

	public Hello() {};

	public Hello(String name, Printer printer) {
		this.name = name;
		this.printer = printer;
	}
}

1) Constructor-arg index지정하여 파라메터를 넘겨주는 경우

<bean id="hello" class="source.Hello">

<constructor-arg index="0" value="Spring"/>

<constructor-arg index="1" ref="printer" />

</bean>


2) Constructor-arg Paramater name 지정하여 넘겨주는 경우

<bean id="hello" class="source.Hello">

<constructor-arg name="name" value="Spring"/>

<constructor-arg name="printer" ref="printer" />

</bean>








Collection Type의 값 Injection

- Spring은 List, Set, Map, Properties와 같은 Collection Framework 타입을 XML로 작성해서 프로퍼티에 주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프로퍼티가 Set과 List일 경우

<bean id="hello" class="source.Hello">

<property name="names">

<list>

<values>Spring</values>

<values>IoC</values>

<values>DI</values>

</list>

</property>

</bean>

- Set으로 설정할경우 list를 set으로 설정하면 된다.


2) Map 타입 : <map>과 <entry> tag를 사용

<bean id="hello" class="source.Hello">

<property name="names">

<list>

<entry key="Kim" values="30"/>

<entry key="Lee" values="35"/>

<entry key="Ahn" values="40"/>

</list>

</property>

</bean>








Spring DI Container의 개념

- Spring DI Container가 관리한는 객체를 빈(Bean)이라고 하고, 이 빈(Bean)들을 관리한다는 의미로 컨테이너를 빈 팩토리라고 부른다.

- 객체를 생성과 객체 사이의 런타임(run-time) 관계를 DI 관점에서 볼 때는 컨테이너를 BeanFactory라고 한다.

- Bean Factory에서 여러 가지 컨테이너 기능을 추가하여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라고 부른다.








* POJO(Plain Old Java Object)

-> JVM으로만 동작하는 객체를 POJO라한다. 일반 Java Class 객체를 뜻한다.


* Bean 

-> 스프링이 IoC방식으로 관리ㄷ는 객체라는 뜻, 스프링이 직접생성과 제어를 담당하는 객체를 Bean이라고 부른다.


* Bean Factory 

-> 스프링의 IoC를 담당하는 핵심 컨테이너를 가리킨다.

-> Bean을 등록 생성 조회 반환하는 기능을 담당함

-> 보통 BeanFacotry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ApplicationContext를 주로 이용한다.


* ApplicationContext

-> BeanFactory를 확장한 IoC 컨테이너이다.

-> Bean을 등록, 생성, 조회, 반환 관리하는 기능은 BeanFactory와 같다.

-> Spring에서는 ApplicationContext를 BeanFactory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

-> Spring의 각종 부가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 Spring이 제공하는 ApplicationContext 구현 클래스가 여러가지 종류가 제공된다. 


* Configuration Metadata

-> ApplicationContext 또는 BeanFactory가 IoC를 적용하기위해 사용하는 메타정보를 말한다.

-> 설정 메타정보는 IoC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Bean 객체를 생성하고 구성할 때 상용된다.

-> xml로 작성한 bean정보가 metadata에 해당된다.





+ Recent posts